Post

[Tech/Git & GitHub] Git의 모든 것 1 - Git vs Github

[Tech/Git & GitHub] Git의 모든 것 1 - Git vs Github

깃과 깃허브는 어떻게 다르고, 실무 혹은 협업 진행 시에 git은 어떤 명령어를 사용하는지까지를 하나의 플로우로 정리해보려고 합니다. git은 안써봐서 모르는 것 뿐이지, 각 잡고 한 번만 해보면 어렵지 않더라고요! 그럼 정말 쉽게 정리해보겠습니다. 정리하다 보니, 내용이 좀 많아져서,,^^ 총 3개의 포스팅으로 정리했으니, 1편부터 차근차근 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\((( ̄( ̄( ̄▽ ̄) ̄) ̄)))/


1. Git과 Github의 차이점


  • Git
    • 소스 코드의 변경 사항을 추적한다.
    • 코드의 버전 관리를 수행한다.
      • 즉, 내가 작성한 코드를 언제 어떻게 바꿨는지 추적하고, 원하면 과거로 되돌릴 수도 있다.
    • 여러 명이 함께 작업할 때도, 충돌 없이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.
  • Github
    • Git으로 관리하는 프로젝트를 올려둘 수 있는 사이트
    • 소스 코드를 저장하는 리모트 저장소 역할을 한다.
    • 내 컴퓨터(Git)에서 작업한 내용을, GitHub에 올리면 어디서든 접근할 수 있고, 다른 사람들과 쉽게 협업할 수 있다.

쉽게 말해, Git은 코드의 모든 이력을 추적할 수 있는 버전 관리 도구이고, Github는 Git 파일을 올려두는 저장소(=웹사이트)라고 생각하면 된다.



2. Git bash란?


쉽게 말해, Git 명령어를 입력할 수 있는 터미널 창 이라고 생각하면 된다.

bash는 리눅스,macOS 환경에서의 명령어 shell(=컴퓨터랑 대화할 수 있게 해주는 인터페이스)인데, 윈도우의 경우 기본적으로 cmd만 있어서 git 명령어를 사용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.

따라서, Git을 설치하면 같이 제공되는 Bash 터미널이 Git bash이다.



3. Git bash의 쓰임


그렇다면 bash는 언제 사용할까?

  1. 윈도우에서 Git 명령어를 쓰고 싶을 때
  2. GitHub에 push/pull 등 하고 싶을 때
  3. Git과 관련된 작업을 직접 명령어로 하고 싶을 때

해당 창을 사용하게 된다.



2편에서는 Git의 작동 방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!





🔗 참고 링크


This post is licensed under CC BY 4.0 by the author.